Infra/Cloud

[AWS] AWS(Amazone Web Services) 개념 및 회원 가입 방법

헹창 2022. 7. 2.
반응형

AWS란?

- 아마존닷컴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 아마존(Amazon)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네트워킹 기반으로 가상 컴퓨터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

- 비즈니스와 개발자가 웹 서비스를 사용하여 확장 가능하고 정교한 애플리케이션 구축하도록 지원

 

Server (Backend)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Server Program) 또는 장비(device)를 의미한다.

 

서버 구축 방식 

온프레미스(On-Premise) 방식 : 온프레미스 환경은 자체적인 서버를 구축해서 직접 서버를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 Home Server :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를 서버로 이용해서 홈서버를 구축

     - Internet Data Center (IDC) : IT 회사의 서버실과 같이, IDC 공간에 서버를 구축

 

 

클라우드 (Cloud) 방식  : AWS와 같은 클라우드 프로바이더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해서 직접 서버를 구축하지 않고 서버를 임대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 Cloud Service :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서버를 구축

 

집에서 홈서버를 구축하다 보면, 정전 등과 같은 이유로 서버가 꺼질 수 있는데, IDC 서버실의 서버들은 서버가 꺼지지 않도록 최대한 많은 조치 (온도 등)를 해놓는다. 하지만, 요즘은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방식으로 넘어오고 있는데, 기업 내부 혹은 건물 임대로 직접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 아닌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마존 서비스를 이용해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기존의 물리적인 컴퓨팅 리소스를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자원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클라우드 IT를 위한 기본 빌딩 블록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네트워킹 기능, 컴퓨터 (가상 또는 전용 하드웨어) 및 데이터 스토리지 공간에 대한 엑세스를 제공한다. IaaS는 IT 리소스에 대한 최고 수준의 유연성과 관리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이는 많은 IT 부서 및 개발자에게 익숙한 기존 IT 리소스와 가장 유사하다.

▷ 하드웨어까지 포함하여 전체를 임대하는 방식

 

Platform as a Service (PaaS) 

PaaS를 사용하면 기본 인프라(일반적으로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관리할 필요가 없어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관리에 집중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리소스 구매, 용량 계획, 소프트웨어 유지 관리, 패치 작업 또는 다른 모든 획일적인 작업에 대한 부담 없이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 대표적인 예로, AWS가 있으며 하드웨어는 아마존에 위임하고 App이나 개발환경 등을 임대하는 방식

 

Software as a Service (SaaS) 

SaaS는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실행되고 관리되는 완전한 제품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경우 SaaS라고 하면 웹 기반 이메일과 같은 최종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SaaS 오퍼링의 경우 서비스를 유지 관리하는 방법이나 기본 인프라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없다. 특정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사용할지만 상각하면 된다.

▷ 개발자보다는 사용자가 임대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Gmail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생각하면 된다.

 

 

Cloud Service 장점

신속성 : 서버 구축과 삭제를 클릭 몇 번을 통해 신속하게 진행 가능하다.

유연성 : 트래픽이 몰릴 때, 서버 대수를 늘렸다가, 트래픽이 감소할 경우 서버 대수를 줄이는 형태로 유연하게 서버 운영이 가능하다.

경제성 :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한 시간만큼 비용을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Cloud Service 의 종류

- Amazone Web Services (AWS) : Amazone에서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Google Cloud Platform (GCP)  : Google에서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Microsoft Azure : Microsoft에서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AWS 사용하는 기업

넷플릭스, 페이스북, 트위터, 삼성

 

AWS 기본 개념

리전 (Region) 

리전은 AWS 데이터 센터가 존재하는 물리적인 지역을 나타내며, 내가 이용하는 위치와 가까운 리전(Region)에서 서버를 임대해야 더 빠른 네트워크 속도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리전(Region)이 지진 등의 재해로 인해 사용 불가능한 상태에 빠질 경우를 대비해 (멀티 리전으로) 다른 리전(Region)에 백업을 구축해 둘 수 있다.

- 현재 사용 가능한 Region 정보 참고

 

Available Zone

리전(Region) 내에서 실제 데이터 센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나타내며, 하나의 리전 내에도 여러 개의 Available Zone이 존재할 수 있다.

 

AWS 프리티어 (free tier)

AWS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 티어(free tier) 제공한다.

프리티어를 이용할 경우 12개월 동안 제한된 사용량 내에서 AWS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 가능하지만, 프리 티어 한도를 초과하면 요금이 부과되니 항상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의도치 않은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조심해야한다.

인스턴스를 종료하거나 분기해서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놔둬야만 프리 티어 제한된 사용량을 넘기지 않을 수 있다.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EC2 (Elastic Compute Cloud) : 가상 서버를 구축할 수 있는 솔루션

S3 (Simple Storage Service) :  스토리지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RDB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DynamoDB : NoSQL DB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ElasticIP : 인스턴스에 고정 IP를 할당해주는 서비스

AMI (Amazone Machine Image) : 인스턴스의 현재 상태를 이미지(Image) 형태로 만들어주는 서비스

CloudFront : 손쉽게 CDN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CloudWatch : 모니터링을 도와주는 서비스

ELB (Elastic Load Balancing) : 로드 밸런싱을 도와주는 서비스

Auto Scaling : 유동적인 서버 확장과 축소를 도와주는 서비스

Beanstalks : 편리하게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 170개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설정한 구성에 따라 요금이 어느정도 나올 지 계산해주는 AWS 요금 계산 서비스도 있다.

 

 

AWS 회원가입하기

사이트 접속하여 [무료 계정 생성] 버튼 클릭

 

 

 

개인 정보와 결제 정보를 입력하고 동의 후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계정 유형은 개인 선택으로 하고, 주소와 우편번호는 영문으로 입력해야한다.

영문주소 변환은 https://www.jusoen.com 을 참고하면된다.

 

결제 정보에 신용카드 입력란은 해외 결제가 가능한 카드로 입력해야 한다.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콘솔에 로그인하면 된다.

 

 

 

 

 

 

AWS 프리티어로 가입한 경우에는 항상, 사용한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삭제하지 않으면 프리티어 기한이 종료된 후 요금이 부과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후에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계획이 없는 서비스는 즉시 종료하거나 삭제해야한다.

 

내 결제 대시보드 메뉴에서 프리티어 사용량을 몇 %까지 사용했는지 확인해서 프리티어가 100% 를 넘어가는 사용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

추천 글